조합 소식

공지사항

임원 회의서 “공매도, 중장기적으로 시장 변동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moot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01 15:37

본문

임원 회의서 “공매도, 중장기적으로 시장 변동성↓”“美 관세정책 따라 시장 변동성 확대 지속 가능성”“글로벌 자금 유입돼야”…‘자본시장 선진화’ 강조[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공매도 급증 종목에 대해선 시장 조치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이 원장은 조만간 있을 미국 상호관세 행정명령 발표 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큰 폭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주의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1일 오전 열린 임원 회의에서 “공매도 급증 종목에 대해선 관계기관과 협의해 관련 시장 조치를 강화하는 동시에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NSDS)을 통해 불법 공매도를 철저히 점검해 국내 자본시장의 공정한 경쟁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27일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FSS SPEAKS 2025’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앞서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14개사, 코스닥 상장사 29개사 등 43개사를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해 이날 하루 공매도 거래를 금지했다.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된 후 공매도 금지 당일 주가가 5% 이상 하락하면 공매도 금지 기간이 연장된다. 이 원장은 또 “미국 증시 하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 등 복합적 요인으로 공매도 재개와 동시에 국내 증시 변동성이 확대됐다”면서도 “공매도는 가격 발견 기능과 유동성을 높여 중장기적으로 시장 변동성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2일(현지시간) 예정된 미국 상호관세 행정명령 발표와 관련해선 “관세정책 발표 이후에도 각국의 협상·대응에 따라 시장 변동성 확대가 상당 기간 지속할 수 있다”며 “미국 관세정책과 대응 동향 등을 밀착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미국 관세정책 불확실성은 기업 투자심리 위축, 경제전망 하향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국내 경제와 산업별 영향 등을 면밀하게 점검하고 관계기관과의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고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의 반작용으로 글로벌 자금이 유럽·중국 등 적극적 경기부양 추진 국가로 이동하는 움직임도 관찰된다”며 “우리나라도 경기 활성화 논의와 자본시장 선진화 추진을 통해 글로벌 자금이 유입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최근 가계부임원 회의서 “공매도, 중장기적으로 시장 변동성↓”“美 관세정책 따라 시장 변동성 확대 지속 가능성”“글로벌 자금 유입돼야”…‘자본시장 선진화’ 강조[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공매도 급증 종목에 대해선 시장 조치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이 원장은 조만간 있을 미국 상호관세 행정명령 발표 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큰 폭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주의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1일 오전 열린 임원 회의에서 “공매도 급증 종목에 대해선 관계기관과 협의해 관련 시장 조치를 강화하는 동시에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NSDS)을 통해 불법 공매도를 철저히 점검해 국내 자본시장의 공정한 경쟁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27일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FSS SPEAKS 2025’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앞서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14개사, 코스닥 상장사 29개사 등 43개사를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해 이날 하루 공매도 거래를 금지했다.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된 후 공매도 금지 당일 주가가 5% 이상 하락하면 공매도 금지 기간이 연장된다. 이 원장은 또 “미국 증시 하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 등 복합적 요인으로 공매도 재개와 동시에 국내 증시 변동성이 확대됐다”면서도 “공매도는 가격 발견 기능과 유동성을 높여 중장기적으로 시장 변동성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2일(현지시간) 예정된 미국 상호관세 행정명령 발표와 관련해선 “관세정책 발표 이후에도 각국의 협상·대응에 따라 시장 변동성 확대가 상당 기간 지속할 수 있다”며 “미국 관세정책과 대응 동향 등을 밀착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미국 관세정책 불확실성은 기업 투자심리 위축, 경제전망 하향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국내 경제와 산업별 영향 등을 면밀하게 점검하고 관계기관과의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고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의 반작용으로 글로벌 자금이 유럽·중국 등 적극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