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소식

공지사항

알테오젠 전태연 부사장 딜사이트 세미나 시사점 - 사업가치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Jud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4-12-20 14:09

본문

트럼프 세미나 사이트 대통령 당선과 관세, 모두들 관세에 대한 트럼프의 언급에 집중하고 있으며, 기업의 주가가 휘청거리곤 한다.하지만, 관세 외에도 무역에서 중요한 장벽으로 작용하는 도구가 있다. 바로 Rules of Origin, 즉 원산지규정이다.관세와 원산지규정을 잘 이용하는 기업은 경쟁사 대비 더 유리한 위치에서 사업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탄생하는 것이 흔히 말하는 '로비'가 되겠다.​삼프로TV 미국 금융투어 기간, MIT 김인송 교수님 세미나를 통해 원산지규정과 로비활동에 대한 흥미로운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한국에서는 듣지 못하는 소중한 내용이니 하나씩 정리해보겠다.01 : MIT 김인송 교수님과 정치경제학세미나를 진행해주신 MIT 김인송 교수님은 정치경제학 연구를 하고 계셨다.정치경제학, 정치도 경제도 익숙치 않은 공대생에게는 정치경제학이란 굉장히 멀게 느껴졌다. 마치, 서류더미에서 고리타분한 연구를 할 것 같았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김인송 교수님은 우리나라에서 알파고 바둑 대국으로 AI 붐이 일어나기 전부터 머신러닝으로 무역, 경제 데이터를 분석해오셨으며, 현재는 LLM으로 경제 관련 법안을 분석하시는 등 AI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인사이트를 발굴해오신 분이셨다.​김인송 교수님의 연구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웹페이지를 참고하자.(나는 시간이 되는대로 논문을 하나씩 읽어볼 예정이다. 여기에 흥미로운 주제를 가진 논문이 많다.)Welcome! I am an Associate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nd a Faculty Affiliate of the Institute for Data, 세미나 사이트 Systems, and Society (IDSS) a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I hold a Ph.D. in Politics from Princeton University, where I received a Harold ...02 : The Political Origins of Rules of Origin(원산지규정의 정치적 기원)1. 원산지규정(Rules of Origin)이란? ① 특정 상품의 원산지를 결정하는 방법과 절차를 담은 기준을 말한다. 단순히 제품을 제조한 나라만 보는 것이 아니라, 제품 원재료나 가공 단계별 공장 위치까지 고려하여 원산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원산지 규정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② 특혜원산지규정(Preferential Rules of Origin) : 나라 간의 FTA 또는 NAFTA와 같이 특별한 조항으로 쌍방 간의 관세상 특혜를 주는 것 ③ 비특혜원산지규정(Non-Preferential Rules of Origin) : 특혜원산지규정 외의 일반적인 원산지규정, WTO 통일 원산지규정 등원산지규정의 예시 (출처 : The Political Origins of Rules of Origin, Kim In Song, Hao Zhang)2. 원산지규정의 작용 원리 ① 예를 들어 NAFTA 조약을 체결한 나라에서 '위 그림'과 같이 신발을 제조하여 미국에 수출한다고 가정해 보자. ② NAFTA 조약에서의 관세는 0%이므로, WTO의 기본 관세 10% 대비 우대 이익(Preferential Margin) 10%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③ 하지만... 이 신발은 NAFTA 원산지규정을 어겼다. 6403.91 Footwear 규정에 세미나 사이트 따르면, 6403과 다른 heading의 소재를 사용해야 하지만, toe cap에서 그렇지 못했다. 결국 이 신발은 관세 10%를 맞게 된다.​​3. 원산지규정의 효과 ① 바야흐로 GVC(Global Value Chain)의 시대다. 특정 제품을 만들고자 소재, 부품을 여러 나라에서 수입하며, 외국 생산 또는 아웃소싱하는 경우가 일반화되었다. ② 그래서 원산지규정이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따라 GVC 기업의 희비는 엇갈리게 된다. 관세를 낮춘다 할지라도, 원산지규정에 따라 수혜를 받지 못하는 기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무역량이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 그래서 FTA를 맺을 때 관세율 자체도 중요하지만, 서로 합의한 원산지규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지난 트럼프 1기 때 재협상한 FTA에서 상승한 관세율도 문제였지만, 원산지규정이 변경되면서 멕시코에 공장을 세운 우리나라 자동차 회사들이 관세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되어 어느 정도의 피해가 있었다고 한다. ③ 결국, 미국 소재의 기업이라고 할지라도, 심지어는 미국에서 완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라고 할지라도, 수많은 나라에서 다단계 생산공정을 거친 원재료와 부품을 사용하는 기업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 원산지규정 개정에 따른 유탄을 맞을 수 있다. 4. 원산지규정에 대한 대응 ① 기업은 2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원산지규정과 관세 규정을 잘 아는 직원을 채용하여 회사에 유리한 제조 전략을 세우거나, 아예 미국 세미나 사이트 정부와 의회에 '로비 활동'을 함으로써, 원산지규정과 관세제도 자체를 회사에 유리하게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 물론 생뚱맞은 외국기업이 로비를 할 순 없다. 북미에 법인을 둔 회사만이 합법적인 로비가 가능하며, 우리나라 기업들도 이런 활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로비를 안 하면 경쟁에서 밀린다.) ② 김인송 교수님은 이 원산지규정과 로비활동 보고서를 기반으로 학습을 완료한 모델을 가지고 계신다고 한다. 오... 이건 글로벌 기업이라면 욕심이 날 것 같은데!챗GPT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시대에 어떻게 대응할지 생각해 보자.5. 내 생각 ① 화제를 모으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은 '허세'또는 '구호'에 그칠 가능성이 높겠다. 미국의 원산지규정은 정말 복잡하기에, 관세제도나 원산지규정을 잘못 개정할 시에는 미국 기업이 예상치 못한 부분에서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충분한 검토 없이 지르는 말은 블러핑에 가까울 가능성이 높다. →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투심이 악화된 섹터나 국가가 있다면, 투자에 적극 활용해 볼 만하다. ②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신규 관세제도를 도입하거나, 원산지규정을 더 빡빡하게 운용한다면? 그리고 그걸 철회하지 않는다면? - 미국 GVC 기업 또는 미국에서 제조하는 기업도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마냥 미국 경제에 좋게 작용하기 힘들다는 얘기​다. 세미나 사이트 - 특정 상품을 구성하는 재료나 부품이 많을수록, 다양한 나라에서 수급될수록 피해가 클 것이다. 완성차, 전자, 가전, 항공우주, 방산 등 투자 주의 필요! (어라라? 이거... 머스크가 하는 사업들 아냐? 머스크가 원산지규정 개정에 대한 권한을 가진다면...? 어...? 아...? Tesla?!) - 그렇다면 미국에서 제조가 이뤄지거나, 제조 과정이 단순한 기업을 투자하면 되지 않는가? 놉! 그나마 농업, 식품, 목재, 화학, 건축자재 정도가 있을텐데, 그 산업은 상품 자체의 단가와 마진에 주가가 연동되는지라 이것만 보고 투자하기에는 곤란하다. → 결국 답은 2가지가 나오는 것 같다. ⒜ 로비를 잘하거나, 트럼프 이너서클에 속한 회사 (Tesla) ⒝ 원산지규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 IT, Communication 섹터 (Palantir, Microsoft, Netflix...) ③ 관세 이슈 해결이라는 뉴스가 나올지라도 원산지규정 등의 변경 여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유탄을 맞는 기업은 무조건 생긴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단 말이지...​03 : 경쟁 우위 선점 및 이익 극대화를 위한 기업 차원의 로비활동잠깐! 이 글을 보는 독자는 '로비'​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무엇이 떠오르는가?뇌물? 사과박스? 선물?​놀랍게도 미국에서의 로비는 이런 부패와는 거리가 먼 합법적인 활동이다. (1995년 로비공개법으로 기업의 로비활동은 공개되고 있음)김인송 교수님께서는 로비활동에 대해서도 흥미로운 설명을 해주셨다.​1. 미국에서의 로비활동 세미나 사이트 - 앞서 설명한 관세제도, 원산지규정 및 그 외의 여러 규제, 법안, 세금, 계약 등 여러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로비스트를 고용한다. - 고용된 로비스트는 정부 관계자, 상/하원 의원과 만나 고용주에게 도움이 될 방향으로의 정책 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설득한다. - 즉, 고용주의 입장을 대변하면서도, 정부 관계자 및 상/하원 의원의 이해관계에 맞아떨어질 수 있는 보고서와 메시지를 만드는 것이 로비스트의 역할이 되는 것이다. - 그 과정에서 사교활동에 필요한 비용, 정책 연구 비용, 교통비 등이 소요될 수는 있겠지만, 정치인에게 직접적으로 금전적 지원을 하지는 않는다. (금전적 지원은 정치활동위원회 또는 Super PAC을 통한 정치 기부 차원으로만 이뤄지며, 이 역시 투명하게 공개되고 있다.) - 물론, 이런 로비활동은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가 가능하다. 시가총액 몇백억 달러 즈음 되는 회사가 쓰는 로비 비용이 약 몇백만 달러 수준이라고 한다.출처 : Political Cleavages within Industry: Firm-level Lobbying for Trade Liberalization (In Song Kim, 2017)2. 로비활동 결과는? - 왼쪽의 그림을 보자. 1995년 이후, 기업에 적용되는 관세율의 차이는 '산업 간 차이'보다 '산업 내 차이'로 설명되고 있다. 즉, 산업 내에서 관세를 회피하거나, 경쟁기업에게 관세를 부과하기 위해 치열하게 로비활동이 세미나 사이트 벌어지고 있다. - 오른쪽의 표를 보자. 로비를 한 기업과 로비대상자(의원), 그리고 이를 통해 생겨난 관세 관련 법안이 기재되어 있다. 로비스트는 특정 법안을 통해 의원의 지역구가 어떤 수혜를 받을 수 있는지를 설명하며, 그것이 설득이 될 경우 의원은 법제화를 적극 추진하여 해당 기업이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 로비 활동이 성공해서 특정 기업이 수혜를 받게 되면, 경쟁사는 난리가 난다. 경쟁사가 바로 이를 타겟팅한 로비활동을 벌여서, 또 법안을 수정시키기도 한다고들 한다. (그러다가, Slow Cooker의 버튼이 5개인지, 7개인지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지게 되는 상황이 만들어진다.)​3. 로비활동은 실제로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가? - 여러 논문에서 '그렇다'라고 답하고 있다. 즉, 로비활동은 특정 기업이 경쟁 우위에 서는 데에 도움이 되고 있다. - 차별화된 제품(대체되기 어려운 제품)이라면 더더욱 수혜를 받을 수 있다. 김인송 교수님의 논문 'Political Cleavages within Industry : Firm-level Lobbying for Trade Liberalization'에서는, 차별화된 상품의 경우 (견제와 반대가 적어) 로비활동을 진행하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하여 더 낮은 관세율을 누린다고 한다.​4. 그럼 대부분의 기업이 로비활동을 하고 있나? - 의외로 그렇지 않다. NYSE에 상장된 기업 중 20%만이 로비활동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 다행히 우리나라 기업들도 로비활동에 많은 세미나 사이트 관심을 가지고,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 어떤 기업이 로비활동을 진행하고 있는지는 김인송 교수님의 'Lobbyview'사이트를 참고해도 좋고, 별도로 내가 찾았던 'Opensecrets'라는 사이트도 괜찮은 것 같다.​↓ Lobbyview 웹사이트 ↓Advancing data science research in interest group politics※ Opensecrets 웹사이트는 사실관계 오류나 데이터의 퀄리티가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한다. 참고용으로만 쓰도록 하자.※ 오호... 현대차가 고용하는 로비스트 숫자가 늘어나는데?? 매우 흥미롭다.​​지금까지 재무적 성과와 내러티브에만 집중해서 투자를 고민해왔다면, 이번 김인송 교수님의 세미나를 통해 투자에 고려해 볼 만한 새로운 관점을 배울 수 있었다.우리나라는 위정자의 심기나 선호도에 따라 기업의 흥망성쇠가 갈리는지라 투자에 반영하기도 어렵고 투자하기도 어렵다면, 미국은 명확한 데이터가 제공되고 이를 통해 분석과 예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 투자자 우호적인 시장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그리고 이런 정치경제학 분야에서도 머신러닝과 딥러닝이 쓰일 수 있다는 점 (특히 내가 싫어하는 베이시안 정리 같은 수학적 개념이 많이 쓰인다는 점) 또한 놀라운 부분이기도 했다. 앞으로 관련 분야가 많이 발전하여, 투자자와 정치 참여자, 일반 시민에까지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는 사회가 만들어지길 바라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